Oauth2.0 소셜로그인 구현
·
Spring
Oauth 2.0의 4가지 프로토콜 중 Authorization code grant 방식에 대한 정리 글 Authorization Code Grant 권한부여를 하기 위해 자체 생성한 Authorization Code를 전달하는 방식 용어정리 Resource: OAuth Provider로 부터 가져오고자 하는 자원 Resource Owner: Resource의 주인. (사용자) OAuth Provider: 쉽게 말해 소셜로그인 기능이라면 카카오, 구글이 된다 (인증을 담당하는 Authorization Server도 별개로 가지고 있다.) Authorization Server: 인증을 처리해주는 서버 Client: Resource를 사용하기 위해 OAuth Provider에 접근하는 application ..
Spring 입문 - DI (의존성 주입), IoC (제어의 역전), Bean
·
Spring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 객체가 자체적으로 필요로 하는 의존성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주입받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객체간의 결합도를 낮추기 위해 사용합니다. 주로 Contructor 기반 주입, Field 기반 주입, Setter 기반 주입이 있습니다. DI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package org.example.ChickenStore class ChickenStoreWithoutDI { private val chicken: Chicken = FriedChicken() fun getCookedChicken(): Chicken { chicken.cook() return chicken } } class ChickenStoreWithoutDI2 { private 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