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 함수
·
Kotlin
순수 함수 순수 함수 이해 동일한 입력 인자에 대해서는 항상 같은 결과를 출력 혹은 반환한다. 값이 예측이 가능해 결정적(deterministic)이다. //순수 함수의 예 fun sum(a: Int, b: Int): Int { return a + b // 동일한 인자인 a, b를 입력받아 항상 a+b를 출력 } 동일한 인자를 받아 100만번을 수행해도 같은 값이 나온다. 순수 함수의 조건 같은 인자에 대하여 항상 같은 값을 반환 함수 외부의 어떤 상태도 바꾸지 않는다. (바꾸지 말아야한다) (위에서 한 말이랑 같은말임) // 순수함수가 아닌 예 fun check() { val test = User.grade() // check() 함수에 없는 외부의 User 객체를 사용했음 if (test != nul..
내일배움캠프 12.06 TIL
·
Kotlin
자료형 이중 등호(==)와 삼중 등호(===)의 사용 이중 등호(==)는 값만 비교할 때 삼중 등호(===)는 값과 참조 주소를 비교할 때 val a: Int = 128 val b: Int = 128 println(a == b) // true println(a === b) // true (값만 비교했기 때문에 '참'이 나온다.) val a: Int = 128 // 기본형 val b: Int? = 128 // 객체 (동적공간에 있음) println(a == b) // true (일단 값은 같기에 true) println(a === b) // false (위치가 틀리기 때문에 false) 연산자 산술 연산자 , -, , /, *% (나머지, Modulus)** 가 있다. if ((n % 2)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Kotlin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개념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코드는 코드를 정리하는 방법이다. 데이터에 대한 생각, 구조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비디오 게임을 만든다고 상상해보자. 이 경우 플레이어 객체(object)가 필요하다. 각 플레이어 객체는 각각 다른 데이터를 갖을 것이다. 플레이어를 단 한명만 만든다면 const player = { name: "Elon Musk", health: 85, skill: "Programmer", }; 이렇게 코딩을 해도 될 것이다. 하지만 숫자가 늘어나면 문제가 생긴다. 플레이어들이 늘어나면 패턴, 이슈들이 생기는데 다른 플레이어도 마찬가지로 모두 같은 속성(property)를 가지고 있다. name, health, skill과 같은 동일한 속성(property) 말이다. 다른점..
내일배움캠프 12.04 TIL
·
Kotlin
학습 내용 코딩 컨벤션 (Coding Convention) CamelCase 주로 변수 메소드의 이름을 지정할때 사용한다. seoulFood (O) seoul_food (X) seoulfood (X) snake_case 주로 상수의 이름을 지정할때 사용한다. seoul_food (O) SeoulFood (X) PascalCase 주로 클래스의 이름을 지정할때 사용한다. SeoulFood (O) Seoul_Food (X) Input과 Output Input 이란 다른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불러와 프로그램에서 확인하는 행위 ex1) 키보드에서 입력한 내용을 불러와서 프로그램에서 확인 ex2) 마이크에서 녹음한 목소리를 불러와서 프로그램에서 확인 ex3) 메모장의 내용을 불러와서 프로그램에서 확인 ex4) US..